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공유오피스를 찾고있는 크리에이터신가요?
enrichch
2025. 6. 8. 01:58
반응형
집에서 일하다 보면 답답하고 게을러지기 마련이다
아무리 집이 좋은 집돌이,집순이도 하루종일 집에만 있으면 일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공유오피스를 찾게 되는데 공유오피스도 다양하다보니 비교해보자
1. 공유 오피스란?
공유 오피스(Co-working Space)는 개인 또는 소규모 기업이 동일한 사무 공간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오피스 형태이다. 전통적인 임대 사무실과 달리, 공유 오피스는 이미 구축된 시설과 서비스(인터넷, 회의실, 라운지, 청소 등)를 제공하여 초기 비용과 관리 부담을 줄여준다.
2. 한국의 공유 오피스 시장 현황
2024년 기준, 서울의 공유 오피스는 약 278개다. 이 중 66%가 강남에 위치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종로, 여의도에 밀집되어 있다. 대표적으로는 패스트파이브, 스파크플러스, 위워크, 리저스, 저스트고, 카페24 등이 있다.
3. 공유 오피스 브랜드 비교
3.1 패스트파이브 (FASTFIVE)
- 가장 많은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공유오피스. 56개 지점이 서울 주요 업무 지구(강남, 여의도, 광화문 등)와 판교, 성수, 마곡 등에 위치하고 있다.
- 가격: 1인실 월30~50만원 / 2인실 월45~80만원
- 회의실, 라운지, 촬영공간, 숙박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 개인적으로 패스트파이브를 이용해봤는데 메인공유공간에서 다양한 행사가 있어서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다만 작은 방은 창문이 없기도 하고 (안쪽에 배치되서) 온도조절도 힘들었다. 공유 냉장고도 있고 쾌적하게 운영된다는 점이 좋았다.
3.2 스파크플러스 (SparkPlus)
- 패스트파이브보다 약간 가격이 저렴하다. 강남, 홍대, 성수 등 주요 지역에 지점을 운영하며 가성비와 접근성이 좋다
- 가격: 1인실 월 25~45만원 / 2인실 월40~70만원
- 패스트파이브에 비하면 단순한 시설
3.3 위워크 (WeWork)
- 가격: 1인실 월40~60만원 / 2인실 월60~100만원
- 글로벌 브랜드, 23년 파산 신청 후 신뢰도 하락
- 글로벌 네트워킹이 필요한 기업은 유용
3.4 저스트코 (JustCo)
- 아시아 중심의 공유 오피스 브랜드로, 강남과 광화문 등 주요 지역에 지점 보유.
- 가격: 1인실 월35~55만원 / 2인실 월 50~90만원
- 세무 상담 등 부가 서비스 제공
- 국내 지점 수가 많지 않음
3.5 마이워크스페이스 (MyWorkSpace)
- 소규모 스타트업과 프리랜서를 타겟으로 한 공유 오피스. 강남역 테헤란로점 등 역세권 중심.
- 가격: 1인실 월20~35만원 / 2인실 35~60만원
-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과 무인시스템
- 유리벽 구조가 불편할 수 있음
5. 공유 오피스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
- 비용: 월 임대료뿐 아니라 보증금, 추가 서비스 비용(팩스, 추가 회의실 등)을 확인해야함
- 시설: 회의실 크기, 라운지 품질, 창문 여부, 에어컨 온도조절가능여부
- 계약 유연성: 단기 계약(1~3개월) 가능 여부와 보증금 비교
- 네트워킹 기회: 입주사 간 이벤트나 비즈니스 지원 프로그램 확인
- 상주하는 매니저 존재 여부 확인
각 브랜드별로 투어 신청을 하면 자세하고 친절하게 상담해주니 직접 방문해보는게 낫긴하다.
반응형